색전의 대부분은 혈전에서 유래되며 혈전과 관계있는 경우를 혈전 색전증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색전증은 혈전색전에 의한다. 폐색전증이 있다. 정맥성 색전증으로 심부정맥 혈전증은 폐색전증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이는 95%이상의 혈전이 심부정맥 혈전증에서 유래된다. 외상에 의한 혈관손상, 보행곤란 등에 의한 혈액순환의 저류, 암 등에 의한 혈액응고 이상은 혈전색전증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폐색전증의 증상으로는 흉부 불편감, 빠른호흡, 호흡곤란, 불안감, 가슴 두근거림 등이 있다. 전신성 색전증으로 동맥성 색전증이 있는데 좌심방, 좌심실, 대동맥에서 생긴 혈전에 의해 형성되는 혈전성 색전이며 혈전의 원인은 주로 심근경색, 심근병증, 류머티스성 심질환에 의해 형성되며 부정맥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또한 호흡을 억지로 참은 상태에서 부피가 늘어난 폐속의 공기가 호흡에 의해 인체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지나치게 팽창되어 혈액의 순환을 막는 것을 공기색전증이라고 한다. 잠수, 정맥주사, 인공기흉술, 유산시 강력한 자궁수축으로 공기가 혈관으로 유입되어 색전증을 초래하고 100cc의 공기는 색전을 형성하여 생명에 위협을 주기도 한다. 경색은 혈액순환장애로 급격한 혈액공급 감소로 인해 국소적으로 허혈성괴사를 일으키는 것이다. 허혈은 출혈, 색전 및 경색 등에 의해 조직으로의 혈류공급이 중단되어 세포의 호흡에 장애가 생겨 세포손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허혈성 대장염은 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말초동맥이 막히거나 일시적으로 혈액공급이 적어서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며 허혈성 심근병증은 관상동맥의 협착, 폐쇄 등으로 인하여 심장근육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어 심부전의 증상이 나타난 상태를 말한다. 쇼크란 혈액량 혹은 심박출량의 감소나 유효 순환혈액량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혈액의 재분포에 의해 생기는, 세포와 조직의 광범위한 저관류에 의해 일어나는 것인데 신체의 말초조직에 부적절한 혈액의 공급으로 인해 세포의 기능부전이 초래되고 생명이 위협받는 비정상적인 상태이다. 원인으로는 심한 출혈, 외상, 화상, 심근경색증, 폐색전증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무욕, 무관심 상태, 빈맥, 혈압저하, 피부창백, 체온저하, 식은땀이 나타난다. 임상경과로 쇼크의 원인이 치료되면 회복되며 생존시에 세포, 및 장기의 변화는 가역적이다. 심인성 쇼크는 급성 심근경색과 울혈성 심부전으로 심각하게 심박출량이 감소하는 비정상적인 상태, 심근자체 손상, 외압, 심근 펌프기능 부전으로 생긴다. 심박출량의 감소가 가장 흔한 징후지만 심인성 쇼크는 80% 정도가 치명적이며 즉시 치료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심근경색증, 심판막파열, 부정맥 등이 있다. 저혈량성 쇼크다. 혈액 혹은 혈장량의 부족으로 생기며 총 혈액량의 1/5가량이 소실되면 저혈량 쇼크가 일어날 수 있다. 과도한 발한으로 인한 탈수, 심한 설사, 오래 지속된 구토, 장폐색, 복막염, 급성 췌장염, 체액의 고갈을 초래하는 심한 화상 등이다. 패혈성 쇼크는 내독소 또는 외독소가 혈류속에 있는 어떤 세균으로부터 유리될때 유발되는 패혈증으로 일어나는 쇼크이다. 신경성 쇼크는 말초혈관 확장 및 혈액저류로 생기며 대표적으로 마취, 척수상해 등이 있다. 탈수증이란 체내의 수분이 정상치 이하로 떨어지는 수분평형의 장애로 전해질의 상실도 동반, 체중의 5%이상의 수분이 상실될때는 탈수, 수분이 10~25%소실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류재문프로필: 서영대학교 겸임교수. 중국해부연수단장 연구실:062-236-3114 010-2640-3029 파인뉴스 기자 470choi@hanmail.net 파인뉴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 기사는 파인뉴스(http://www.xn--vg1b002a5sdzq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파인뉴스.kr |